본문 바로가기
숲이야기(단계)/2011게으른산행

미륵산 식생 보고(12월 게으른산행 둘째날)2011.12.15

by 단계와 넓은여울 2012. 1. 12.

드뎌 2011년 게으른산행의 마지막 레포트입니다.

착오가 있는 부분은 언제라도 수정지시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곳에 있는 모든 내용은 게으른산행 여러분들의 것입니다.

2011년 게으른산행 마지막 주인공은 바로 붉은고로쇠입니다.

난대성 상록수림의 일반적인 특징 : 다우지역이며 높은 습도에 잘 적응하고 있다.

뿌리는 천근성이 많다(넘어지지  않으려고 서로 의지하며 사는 경향이 있다.)

탄수화물/질소 성분(C/N율)의 비율과 개화의 관계 :

 C/N율이 낮으면(질소 과다) 늦게까지 자람(영양생장 지속), 꽃눈 형성이 지연됨(꽃, 열매가 안 맺는다)

** 개화는 C/N율뿐만 아니라, 온도(저온이 결실을 유도)와 일장(밤.낮의 길이)이 주요 변수이다.

명자순(범의귀과) : 가시가 없다.  잎맥. 가지에 털이 빼곡하다. (가시가 있는것은 산딸기)

자귀나무 : 오래 될수록 피목이 세로로 배열된다.

말오줌때나무(고추나무과) 끝눈에 가정아 2개, 잎은 5~11개 소엽으로 예리한 잔톱니로 털이 없음.

** 말오줌나무(인동과) 2~3쌍의 소엽, 가장자리 거치가 안으로 굽는다. 원추화서로 밑으로 쳐진다.

어린가지 털이 없고 흰피목과 코르크가 발달. 울릉도,한산도,비진도 자생

 

굴피나무의 잎자국은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온대 남부수종의 특징 : 수피 두께가 얇고 연리현상이 용이하다. 아래는 비목의 연리현상

** 잎맥-거치-결각의 관계 : 결각이 큰 잎은 잎맥(측맥)이 거치 끝까지 간다.

** 음수의 형태적인 특징은 잎이 더 넓고 얇다. 건조와 광선에 대한 저항성이 특히 약하나 호흡속도가 느려

조명도가 낮은상태에서도 순생산량을 유지할 수 있다.(음수, 양수의 구분은 음지에서 견디는 힘, 내음성)

비목의 잎눈(가운데)과 꽃눈(양쪽)

합다리 : 수피가 미끈. 겨울눈은 주먹을 쥐고 있는 모습

비목이 5미터 이상을 건너서 연리목을 이루고 있다.

편백나무 숲

아왜나무

 

은목서

쥐똥나무

 

소사나무 열매 : 씨앗을 싸고 있는 조그만 포가 있다. 개서어나무에는 없다.

 

사방오리 겨울눈 (배경의 옷의 주인공은 누규? 노샘?)

 

 

진달래

 

붉은고로쇠 새싹

 

 

신갈나무

 

붉은 고로쇠 잎의 앞면, 뒷면 모두 털이 있다. 잎자루도 붉다.

 

붉은 고로쇠 수피

 

붉은 고로쇠 열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