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숲이야기(단계)/학습 및 자료모음

단지(短枝)의 제왕은 어느 나무(사진)일까 ?(신청접수)

by 단계와 넓은여울 2011. 3. 18.

제목 : 단지를 갖는 나무를 열거하고 그 나무들중 '단지의 제왕'이 어느 나무인지를

스토리텔링식으로 선발하기

 

 

단지는 절간(마디와 마디 사이)성장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잎이 짧은 줄기 위에 다닥다닥 달려 있는 지상부를 이르며. 이에 반해 절간이 신장하여 잎이 줄기에 산재하는 보통의 지상부를 장지라고 한다. 겉씨식물에서는 1개체에 단지와 장지가 공존하는 체제의 종류가 적지 않다. 은행나무, 낙엽송, 계수나무(쌍자엽류)의 단지는 단순히 줄기가 쌓여 잎이 총생한 것이지만, 소나무속의 2~5침엽은 장지에서 액생 분지한 새로운 축이 단지이기 때문에 생긴 것이고, 더욱 극단적인 것은 금송에 있어 단지상의 2엽이 완전히 측면에서 유착하며 그 사이에 생장점도 없고, 단지는 1개의 잎으로 대표된다. 그러나 장지와 단지 사이에 본질적인 차이는 없고, 정아 우성의 현상 등에 의해 생장이 억제된 것이 단지가 된 것으로 본다.

 

은행나무, 잎갈나무, 낙엽송, 자작나무, 단풍나무 등은 가지에 따라 절간이 보통 가지와 짧은 가지가 있어 두 종류의 가지를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장지(長枝)라 하여 곧게 벋고 잎이 드문드문 달렸으며, 다른 하나는 단지(短枝)라 하여 장지의 잎겨드랑이에 나는데 해마다 조금씩 자라며 끝쪽에 잎이 뭉쳐서 달린다. 다시 말하면, 장지는 잎과 잎 사이의 마디가 길어 잎이 서로 떨어져 있으며 단지는(short shoot, 침엽수는 dwarf shoot, 활엽수는 spur shoot) 잎과 잎 사이의 마디가 거의 없어 잎이 서로 총생한다. 소나무류의 경우에 엽속은 단지에 해당하고 엽속이 붙어있는 가지는 장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은행나무나 낙엽송에서 일부 가지가 고정생장 할 경우 단지는 동아에서 유래한 춘엽만을 가지고 있으면서 마디의 길이가 2mm보다 짧으며 만일 단지가 다시 생장을 시작하면 하엽을 만들면서 자유생장을 함으로써 장지로 바뀐다. 자유생장을 하는 수종이 노령기에 달해 생장이 줄어드는 이유는 대부분의 가지가 고정생장으로 바뀌면서 단지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지의 상태로 몇 년이 지난 후에는 끝쪽에 장지가 자라는 일도 드물지 않다. 가지의 변태에는 여러 가지 경우가 있다. 포도과의 식물에서는 가지 끝이 덩굴손이 되어 끝나며, 같은 과인 담쟁이덩굴에서는 덩굴손의 끝쪽에 흡반(吸盤)이 생겨 바위 따위에 단단히 붙어 줄기를 길게 벋는다.

 

또 매화나무 등에서는 작은 가지 끝이 딱딱하게 날카로워져 경침(莖針)을 만드는 성질이 있다. 해마다 가지가 자라는 수목에서는 생장에 수반하여 잎이 나더라도 햇빛이 닿지 못하는 가지가 생긴다. 대부분의 식물에서 이런 쓸모 없는 가지는 죽고 결국은 부러져 떨어진다. 느티나무가 이런 성질을 잘 나타내어, 강풍이 지나간 다음에는 크고 작은 가지가 많이 떨어진다. 그러나 녹나무 ·포플러 등은 가지가 불필요해지면 그 근부(根部)에 잎처럼 이층(離層)이라는 특별한 조직이 생겨 거기를 경계로 떨어진다. 이런 현상을 낙지(落枝)라 하고 줄기에 남은 흔적을 지흔(枝痕)이라 한다. 분지가 극히 왕성해지는 데 비하여 가지가 복잡하지 않은 것은, 이와 같이 가지가 정리되어 가기 때문이다. 소나무는 낙엽과 낙지가 동시에 이루어지는데 이런 예는 삼나무 ·노송나무 등 침엽수에 속하는 종류에 많다.

단지가 발달한 나무 : 대패집나무, 매실나무, 은행나무, 팥배나무, 함박꽃나무, 메타세콰이어, 잎갈나무..야광나무, 벚나무, 윤노리나무,

자작나무는 장지에서는 잎이 호생하나 단지에서는 2개씩 난다.

 

단지가 발달한 나무 (16개 후보 나무들)

겉씨식물문  

    은행나무목 - 은행나무과  : 은행나무

                        소나무목   -  소마무과   : 낙엽송

속씨식물문

    버드나무목  - 버드나무과  : 은사시나무

    참나무목   -   자작나무과   : 자작나무

    미나리아제비목  - 계수나무과  : 계수나무

    목련목   -  목련과   :  함박꽃나무

    무환자나무목  _  감탕나무과  : 대팻집나무

    갈매나무목   -  갈매나무과  ; 짝자래나무

                           포도과   :  담쟁이덩굴

    장미목  -    장미과   : 윤노리나무,  콩배나무,  팥배나무,  야광나무,  매실나무, 사과나무

    용담목   -  물푸레나무과  :  물푸레나무

 

 

대팻집나무  (감탕나무과)

 

윤노리나무

 

은사시나무

 

계수나무

 

팥배나무

 

콩배나무

 

돌배나무

 

함박꽃나무

 

야광나무

 

은행나무

 

낙엽송 

 

매실나무

 

자작나무 

 

짝자래나무

 

 

 

물푸레나무 

 

 

 

 

담쟁이덩굴

 

 

 

사과 꽃 

사과 열매와 단지